본문 바로가기
책 집필

천간합의 다섯 가지 의미

by 사공(思工) 2025. 4. 5.
반응형

현재 집필 중인『처음 배우는 사주명리: 하권』의 천간합 내용 중 일부입니다.

 

천간합

 


간합 의미

 

천간은 간합으로 인해 변화하고 새로운 오행이 생성합니다. 무언가 생성하거나 변화하려면 마음이 움직이고, 그 다음 행동해야 변화가 일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무엇과 무엇이 상관관계를 맺고, 어떤 것을 소모하거나 투입, 포기해야 변화가 가능합니다.

 

이렇듯 간합 통변에서는 단순히 두 글자가 서로 합쳐진다는 외형적 의미를 넘어 여러 의미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간합의 통변 의미를 살펴보면 크게 강한 의지, 상관관계와 정의, 접착/부착, 안정감과 답답함, 소모 5가지로 나눠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강한 의지 – 끌림과 독점 욕구

 

간합은 '의지'와 관계가 깊습니다. 어떤 천간을 강하게 원하거나 지향하고, 때로는 집착하는 심리적 작용이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간합한 글자를 독점하거나 전용하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일간이 특정 천간과 간합을 이루고 있다면, 해당 천간은 일간이 강하게 끌리고 필요로 하는 요소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토(戊) 일간이 계수(癸)와 무계합을 이루고 있다면, 무토(戊)가 재성인 계수(癸)를 강하게 원하고 소유하고자 하는 태도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戊 癸 ○

○ ○ ○ ○

 

고전 『자평진전』에서는 간합을 "마음은 통하지만 환경은 어긋난다(心雖相契 地則相違)"고 표현하며, 이는 간합이 단순한 기운의 조합이 아니라 서로를 향한 내면적 끌림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무토(戊) 일간과 계수(癸)가 떨어져 합이 성립되지 않지만 합력이 작용하여 마음이 원하는 상태가 됩니다.

 

○ 戊 ○ 癸

○ ○ ○ ○

 

특히 양간(陽干)의 경우 더욱 능동적인 성향으로 소극적인 음간(陰干)을 강하게 원하게 되는데, 이 과정 통해 결과적으로 양간은 음간의 성향을 따르게 되는 경향도 보입니다.

 

 


(2) 상관관계와 정의(定義) - 관계 설정과 의미 부여

 

간합은 두 천간 사이의 긴밀한 상관관계나 의미적 연결성을 보여주는 요소입니다. 두 글자가 서로를 정의하고, 상호 연결된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간합은 통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병신합이 사주에 있다면, 병화(丙)가 인성이라면 신금(辛)은 식상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는 인성과 식상이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를 형성하는 구조로 볼 수 있습니다.

 

○ 戊 丙 辛

○ ○ ○ ○

 

이러한 구조는 직업(식상)을 수행하기 위해 자격(인성)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직업적으로 인성이 문서, 증명, 자격증, 어머니, 외가, 친할아버지 등과 같은 요소로도 해석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금일간이 갑목(甲) 재성과 기토(己) 인성을 포함할 경우, 갑목은 단순한 현금성 자산이라기보다 문서화된 재물, 지식 기반의 자산, 혹은 외가 쪽 유산처럼 통변할 수 있습니다.

 

재성을 아내로 본다면, 학력이나 부동산, 문서, 유산 등을 가진 배우자로도 풀이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토(己) 인성은 갑목(甲) 전용이므로 경금(庚)일간이 직접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됩니다.

 

○ 庚 甲 己

○ ○ ○ ○

 

고전 『연해자평』이나 『삼명통회』에서는 간합을 "君臣慶會(군신경회)"라고 하여, 임금과 신하 같이 역할적 관계성과 상호 의무가 깃든 관계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간합이 성립되지 않더라도 이 같은 상관관계는 여전히 중요한 통변 포인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甲 庚 己 ○

○ ○ ○ ○

 

 


(3) 접착/부착 – 떨어지기 어려운 구조적 응집

 

간합은 서로가 찰싹 달라붙은 듯한 접착이나 부착의 상태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이는 마치 둘이 한 세트처럼 붙어 있어서 쉽게 분리되기 어려운 구조적 응집력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병화(丙) 일간 여성 사주에서 식상(戊)과 관성(癸)이 합을 이루고 있다면, 자식(식상)과 남편(관성)이 한 세트처럼 움직이게 되어, 남편의 관심이 아내가 아닌 자식 쪽으로 기울거나, 가정(관성)이 자식 중심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식(식상)의 영향으로 인해 직장(관성)이 제한되거나 직업과 가정 사이의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丙 癸 戊

○ ○ ○ ○

 

또한 보태거나 덧대어 추가하는 형태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사주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아이가 생겨 결혼하거나, 초혼이나 재혼을 하면 아이가 있는 남편을 얻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아이의 출처(지장간)가 중요) 이처럼 남편과 자식이 한 세트처럼 같이 붙어서 얻게 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4) 안정감과 답답함 – 유지되지만 구속되는 상태

 

두 천간이 합을 이루면, 두 기운이 잘 흩어지지 않기 때문에 안정감이 생깁니다. 간합한 천간은 음양의 중화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속성을 갖는 구조를 형성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은 동시에 구속이나 제약으로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간합한 천간은 맘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지 사용을 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간합한 천간에 대해 답답함을 느끼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인성과 식상이 간합되어 있다면, 진로나 학업 문제에서 방향 전환이나 선택의 폭이 좁아져 답답함이 커질 수 있습니다. 전공을 쉽게 결정하지 못하거나, 진로를 바꾸고자 해도 진행이 막히는 등 선택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답답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壬 庚 乙

○ ○ ○ ○

 

 


(5) 소모 - 투입과 교환을 통한 변화

 

간합은 융합의 과정에서 일방적인 소모나 흡수 작용이 일어기도 합니다. 사주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사주 원국과 행운의 간합은 다른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상실(합거)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간합은 변화의 기운이기 때문에 변화를 위해 에너지를 투입해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어떤 것은 소모되어 사라지거나 교환되기도 하고 어느 시점까지 꾸준히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정임합의 경우, 정화(丁)와 임수(壬)를 소모하여 목(木)으로 전환되며 원래의 성질이 묶이거나 소멸되어 새로운 오행으로 대체됩니다. 비견 임수(壬)와 정화(丁)를 계속 투입하여 목(木) 식상을 생성해야 하는 상태입니다.

 

○ 壬 壬 丁

○ ○ ○ ○

 

위와 같이 간합은 새로운 오행을 생성할 때까지 자원을 끊임없이 투입합니다. 그래서 심리적으로는 답답한 상태가 유지되며, 매출을 올리기 위해 자본금을 계속 투입하거나 자본금으로 인프라 구축, 인력을 지속적으로 투입되거나 소모되는 상태가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진로를 위해 자격증을 따야 한다면 학원 수강료와 공부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이렇듯 변화를 위해 시간과 비용, 체력 등 다양한 자원을 투입해야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써야 하며, 이로 인해 답답함이나 부담감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반응형